제2차 이손초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이손초 전투는 제1차 이손초 전투의 실패 이후, 이탈리아군 총사령관 루이지 카도르나가 오스트리아군 전선에 가한 공격이다. 카도르나는 강력한 포병 공격 후 보병의 정면 돌파를 시도했지만, 철조망 절단기, 소총, 포탄 등 전쟁 물자 부족으로 인해 이탈리아군의 수적 우위를 살리지 못했다. 전투는 카르스트 고원, 산 미켈레 산, 율리안 알프스 산맥 등에서 격렬하게 진행되었고, 3주간의 전투 끝에 이탈리아군 41,800명, 오스트리아-헝가리군 46,600명으로 총 9만 명에 달하는 사상자를 내며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5년 7월 - 제1차 이손초 전투
1915년 5월 이손초 강 일대에서 이탈리아 왕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에 벌어진 제1차 이손초 전투는 이탈리아군의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군의 방어선과 불충분한 포병 지원으로 소모적인 참호전의 시작을 알렸다. - 1915년 8월 - 1915년 8월 10일 일식
1915년 8월 10일에 발생한 금환 일식은 크기 1.0397, 가림 1.0421, 감마 0.2083, 중심 시간 03:25:15.7 UT, 사로스 주기 145의 매개변수를 가졌으며, 중국 동반부, 한반도, 일본 등에서 부분 일식으로, 금환대는 태평양, 하와이, 괌, 오가사와라 제도 하하지마섬 등에서 관측되었다. -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 제3차 이손초 전투
제3차 이손초 전투는 1915년 이탈리아 왕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에 벌어진 전투로, 이탈리아군이 포병 전력을 강화하여 공세를 재개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저항에 막혀 소득 없이 끝났다. -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 제1차 이손초 전투
1915년 5월 이손초 강 일대에서 이탈리아 왕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에 벌어진 제1차 이손초 전투는 이탈리아군의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군의 방어선과 불충분한 포병 지원으로 소모적인 참호전의 시작을 알렸다.
제2차 이손초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 | 제2차 이손초 전투 |
부분전 | 이탈리아 전선 (제1차 세계 대전) |
![]() | |
시기 | 1915년 7월 18일 – 1915년 8월 3일 |
위치 | 소차 강, 북서부 슬로베니아 |
결과 | 이탈리아군의 전술적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이탈리아 왕국 |
교전국 2 | 오스트리아-헝가리 |
지휘관 및 지도자 | |
이탈리아 왕국 | 루이지 카도르나 (이탈리아군 참모총장) 피에트로 프루고니 (제2군 사령관)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 (제3군 사령관) |
오스트리아-헝가리 | 프리드리히 대공 (오스트리아-헝가리군 최고 사령관)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총참모장) 오스트리아-테셴의 오이겐 대공 (남서부 전선 사령관) 스베토자르 보로에비치 폰 보이나 (제5군 사령관) Colonel Richter (릭터 그룹 사령관) |
병력 규모 | |
이탈리아 왕국 | 250,000명 |
오스트리아-헝가리 | 78,000명 |
사상자 및 손실 | |
이탈리아 왕국 | 41,800명 손실 |
오스트리아-헝가리 | 46,600명 손실 |
추가 정보 (일본어 위키피디아) | |
병력 규모 (일본어) | 이탈리아군: 240개 대대, 화포 840문 |
병력 규모 (일본어) | 오스트리아군: 130개 대대, 화포 420문 |
사상자 (일본어) | 이탈리아군: 전사상자 60,000명 |
사상자 (일본어) | 오스트리아군: 전사상자 45,000명 |
2. 전투의 배경
루이지 카도르나 이탈리아군 총사령관은 제1차 이손초 전투 실패에도 불구하고, 더 강력한 포병 지원을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선을 다시 공격하기로 결정했다.[1]
카도르나의 전술은 강력한 포병 폭격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선에 정면 공격을 감행하여 철조망 울타리를 돌파하고 참호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소총, 포탄, 철조망 절단기 등 전쟁 물자 부족으로 이탈리아군의 수적 우위는 효과를 보지 못했다.[1] 이탈리아군은 병력이 더 많았지만, 철조망 절단기가 부족하여 기동력이 제한되었다.[1]
2. 1. 제1차 이손초 전투의 실패
루이지 카도르나 이탈리아군 총사령관은 제1차 이손초 전투 실패 2주 만에 더 강력한 포병 지원을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선을 다시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이탈리아군은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소총, 포탄, 철조망 절단기 등 전쟁 물자가 부족하여 공격은 무력화되었다.[1] 카도르나 장군의 전술은 강력한 포병 폭격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선에 정면 공격을 감행하여 철조망 울타리를 돌파하고 참호를 점령하는 것이었으나, 부대에 충분한 철조망 절단기를 지급하지 못해 기동력이 제한되었다.[1]2. 2. 카도르나의 전략 수정
루이지 카도르나 이탈리아군 총사령관은 제1차 이손초 전투 실패에도 불구하고, 더 강력한 포병 지원을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선을 다시 공격하기로 결정했다.[1]카도르나 장군의 전술은 강력한 포병 폭격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선에 대한 정면 공격을 감행하여 적의 철조망 울타리를 돌파하고 참호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소총, 포탄, 철조망 절단기 등 전쟁 물자 부족은 이탈리아의 수적 우위를 무력화시켰다.[1]
카도르나가 채택한 전술은 단순했고,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조잡했다. 이탈리아군은 오스트리아군 참호 정면에 자리를 잡고 철조망을 제압한 후 적진으로 돌입한다는 계획이었다. 이탈리아군은 오스트리아군보다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부대에 충분한 철조망 절단기를 지급하지 못해 기동력이 제한되었다.[1]
3. 전투의 전개
제1차 이손초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의 화력이 부족하다는 것이 드러나자, 총사령관 루이지 카도르나는 포병 전력을 늘리고 다시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카도르나의 전술은 강력한 포격 후 보병이 철조망을 넘어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방어선을 뚫는 방식이었으나, 철조망 절단기, 소총, 포탄 등의 물자 부족으로 29만 명에 달하는 이탈리아군의 수적 우세는 상쇄되었다.
카르스트 고원에서 벌어진 백병전에서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다. 헝가리 제20사단은 초반 공격 성공으로 전력의 3분의 2를 잃고 물러났다. 7월 25일 이탈리아군은 산 미켈레 산 남쪽의 카푸치오 숲을 점령했으나, 고리치아 다 수드의 오스트리아군 교두보를 포함한 넓은 지역이었던 이 곳은 오스트리아의 리히터 대령이 이끄는 정예 연대에게 다시 빼앗겼다.
율리안알프스산맥 부근에서 이탈리아군은 이후 전투를 위해 매우 중요한 바토그니차 산을 힘겹게 점령했다.
두 번째 이손초 전투는 양측의 군수품 소모와 전투력 고갈로 인해 끝났다. 3주간의 전투동안 이탈리아는 41,800명, 오스트리아는 46,600명을 잃어, 모두 합쳐 9만 명이 넘는 병력을 잃었다.[1]
3. 1. 카르스트 고원에서의 격전
카르스트 고원에서 이탈리아 제2군과 제3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치열한 백병전을 벌였다. 양측 모두 총검, 칼, 각종 금속 조각 등 가용한 모든 무기를 동원하여 격렬하게 싸웠다.[1] 헝가리 제20사단은 이탈리아군의 공격과 불리한 지형으로 인해 전력의 3분의 2를 잃고 궤멸되었다.[1]3. 2. 산 미켈레 산 전투
7월 25일, 이탈리아군은 산 미켈레 산 서쪽의 카푸치오 숲을 점령했다. 이 지역은 고리치아 교두보 등 넓은 지역을 통제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였다.[1] 이탈리아군은 산 미켈레 산을 잠시 점령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군 리히터 대령이 이끄는 정예 부대의 반격으로 다시 빼앗겼다.[1]3. 3. 율리안 알프스 산맥에서의 전투
전선 북부 율리안알프스산맥에서 이탈리아군은 코바리드(Caporettoit)를 넘어 바토그니차 산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는데, 이는 향후 전투에서 중요한 전략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1]3. 4. 전투의 결과
양측 모두 탄약과 물자가 부족해지면서 전투는 점차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1] 3주간의 전투로 이탈리아군은 약 4만 2천 명,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약 4만 7천 명의 사상자를 기록했다.[1]4. 평가 및 영향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평가 및 영향' 섹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5. 기타 이손초 전투
이손초 강에서는 제2차 이손초 전투 외에도 11차례의 전투가 더 벌어졌다.
5. 1. 다른 이손초 전투 목록
전투 | 날짜 |
---|---|
제1차 이손초 전투 | 1915년 6월 23일 ~ 7월 7일 |
제3차 이손초 전투 | 1915년 10월 18일 ~ 11월 3일 |
제4차 이손초 전투 | 1915년 11월 10일 ~ 12월 2일 |
제5차 이손초 전투 | 1916년 3월 9일 ~ 3월 17일 |
제6차 이손초 전투 | 1916년 8월 6일 ~ 8월 17일 |
제7차 이손초 전투 | 1916년 9월 14일 ~ 9월 17일 |
제8차 이손초 전투 | 1916년 10월 10일 ~ 10월 12일 |
제9차 이손초 전투 | 1916년 11월 1일 ~ 11월 4일 |
제10차 이손초 전투 | 1917년 3월 12일 ~ 6월 8일 |
제11차 이손초 전투 | 1917년 8월 19일 ~ 9월 12일 |
카포레토 전투 (제12차 이손초 전투) | 1917년 10월 24일 ~ 11월 9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